Build on your strength ( 강점을 살리기)
Did you know that Babe
Ruth was once a pitcher? At one point he made the deliberate decision to stop
pitching so he could focus on batting. He took a lot of heat for his decision
because he was a GOOD pitcher. He stuck with his decision though because he knew
he had the motivation to be a GREAT batter.
(전설의 타자
베이브루스가 한 때 투수였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어느 한 순간 그는 투수를 그만두겠다는 신중한 결정을 내렸고 그 결과 배팅에 전념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좋은 투수였기 때문에 그 결정이 수많은 안타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
Ofte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good and being great is making adjustments that allow
you to spend more of your time developing your greatest strengths.
(잘하는 것과 훌륭한 것의 차이는 당신의 최선의 강점을 개발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도록 조정하는 것에
있습니다.)
Ever had an annual performance review where the first part
was about the wonderful things you did that year, but then the focus quickly
shifted to a discussion about shoring up your weaknesses? It’s an all-too-common
scenario. And it’s probably a waste of time.
(연간 성과 측정을
하면서 처음에는 당신이 그 해에 이룬 훌륭한 것들에 대해 하고 , 그리고는 곹장 당신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토론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까? 대게는 다들 그렇게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 되고는 합니다.)
The "fix
your weaknesses" school believes that with enough discipline, determination and
training, anyone can do anything. Unfortunately, it confuses weaknesses and
limitations. Weaknesses reflect a lack of skill (how to do something) or
knowledge (what you know). Weaknesses can be overcome by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limitations reflect a lack of
motivation (what you do well naturally). These really can’t be overcome, because
new motivations can’t be acquired.
( ‘약점 교정 학교’는 충분한 원칙과
결단과 훈련을 통해 어떤 사람이든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것은 약점과 한계를 혼동하고
있습니다. 약점은 기술(일하는 방법)과 지식(무엇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반영한 것입니다.
약점은 교육과 훈련과 경험과 연습을 통해 극복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한계란 것은 동기( 자연스럽게 잘할 수 있는 것)의 결핍입니다. 이것은
정말 극복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새로운 동기는 습득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In fact, if a person has low motivation in a particular
area, spelling for example, there is very little likelihood that he or she will
ever be a great speller. The best they will be is adequate. Who wants to be
adequate?
(만약 어떤 사람이 특정 분야에 있어 낮은 동기 수준을 가지고 있다면, 철자법을
예로 들자면, 그가 훌륭한 철자법에 능통한 사람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들이 될 수 있는 최선은 적당한 수준이 되는 것인데 누가 그런
적당한 것을 원하겠습니까?)
It’s a much better idea to build on your
strengths.
( 당신의 강점을 살리는 것이 훨씬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If you want to move up from being good to being great, know
what your talents and motivations are, and build on them. Why? Because you will
develop what you do best and enjoy most. These are your strengths, and they are
yours for life. You can build on them, and they won't let you down. Think about
it: what would your life be like if you got paid to do what you do best and
truly enjoy? Awesome, isn’t it?
( 당신이 잘하는 수준에서 훌륭한 수준으로 발전하기를 원한다면 당신의 재능과 동기
수준을 파악하십시요. 그리고 그것들을 살리십시요. 왜냐구요? 당신은 당신이 가장 잘하고 가장 좋아하는 것을 개발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
가장 잘하고 가장 좋아하는 것)이 바로 당신의 강점이며, 당신 삶의 자산입니다. 강점을 살린다면 강점이 당신을 쓰러뜨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가장 잘하고 정말 좋아하는일을하고 있다면 당신의 삶이 어떤 모습이 되어있을 지 생각해 보십시요. 멋있지 않습니까?)
'변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에 빛나는 낙관주의 (0) | 2006.08.30 |
---|---|
실패란 (0) | 2006.08.30 |
행복을 위한 7가지 습관 (0) | 2006.08.21 |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일곱 가지 방법-브라이언 트레이시 (0) | 2006.06.13 |
습관 깨기 (0) | 2006.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