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다이아 몬드 모델

 

다이아 몬드 모델이란

 

국가의 경쟁우위에 대한 포터 교수의 다이어 몬드 모델은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한 국가의 경쟁적 포지션을 조사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모델입니다.

 

또한 지리적으로 주요한 지역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국가의 우위점

경제이론으로 국가나 지역의 비교우위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1.땅

2.위치

3.천연자원 (무기물, 에너지)

4.노동력

5.현지인구규모

 

이 다섯개의 요인은 거의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적 기회와 관련하여 다소

수동적인(계승되는) 관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Porter는 지속적인 산업성장은 위에서 언급된 기본적으로 계승되는 요인에 의해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한 요인이 풍부할 경우 실제로는 경쟁우위를 약화시킬 수도 있으며, 

그는 특정지역에 발생되는 상호연결된 기업, 공급자, 연관산업, 기관의 그룹 또는

클러스터라는 개념을 소개했습니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특정분야의 기업과 전문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그리고 연관 기관이

상호연결되어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러스터는 충분한 자원과

경쟁력이 축적되어 있는 곳에서 자라나고, 다른 지역 또는 심지어 해당 분야의 세계최고

지역에 대하여  압도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갖추고 주어진 경제적 활동분야에서

핵심적인 포지션을 부여합니다.

Porter교수에 의하면 클러스터는 3가지 방식으로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1) 클러스터는 클러스터에 있는 기업의 생상성을 향상시킨다.

2) 클러스터는 해당분야에 혁신을 불러일으킨다.

3) 클러스터는 해당분야에 새로운 사업을 자극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유명한 사례는 미국 실리콘벨리(컴퓨터), 네덜란드 로테르담(물류),

인도의 발강로르(S/W 아웃소싱), 미국 헐리우드(영화) 프랑스 파리(패션) 등입니다.

 

Porter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가의 경쟁우위는 4가지 상호연결된 발전요인과

이러한 클러스터 내에 있는 기업들간의 활동의 결과입니다.

이들은 정부의 주도적 (Pro-Active Way)추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쟁우위를 위한 상호 연결된 발전 요인

 

1. 전략,구조 및 기업의 라이벌

   세계는 역동적인 조건에 의해 지배.

   직접적인 경쟁은 기업으로 하여금 생성성과 혁신을 높이도록 강요.

2. 수요조건 :

 어느 경제권내의 고객들의 수요가 매우 높을 경우, 혁신제품과 높은 품질을 통해

 경쟁력을 꾸준히 향상시키도록 기업의 압력이 증대.

3.관련지원 산업

  상류, 또는 하류 산업이 공간적으로 근접해 있으면,

  정보의 교환이 촉진되고 아이디어와 혁신의 지속적 교환을 촉진 시킴

4.요인 조건

  제품의 핵심요인(또는 특화요인)은 주어지는 것이 아라 창조된다고 포터는 주장

 생산의 특화요인은 숙련노동자, 자본, 인프라 등, 비핵심 요인 또는 일반적 사용요인

 예를 들면 미숙련노동자, 원자재 등은 어느 회사든  획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지는 않음.

그러나 특화된 요인은 상당하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함, 그러한 요인들은 복제하기 여려움.

 이것이 경쟁우위를 창출함.

 왜냐하면 다른 이업이 이러한 요인을 쉽게 복제할 수 없으면 그것은 가치가 있다는 것이 때문임.

 

 

포터의 다이아 몬드 모델에서 정부의 역할

정부는 촉매제 또는 도전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기업이 영감을 불러 일으키거나,

경쟁에서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독려하고, 때로는 압력을 가해야 합니다.

정부는 기업이 성과를 향상시키고, 첨단제품에 대한 초기수요를 자극하고, 특화요인의 창조에 집중하고,

직접적인 협력을 제한하고 불공정 거래 규제를 시행함으로써 지역적인 경쟁관계를 자극하도록

기업을 독려해야 합니다.

 

국가의 경쟁우위

포터는 10개의 선진 교육국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모델을 그의 저서

"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에서 소개하였습니다.

이 책은 기업의 경쟁기반으로 이전의 천연자원과 노동력 같은 전통적인 비교우위 대신,

생산성의 원인에 기초한 경쟁력에 관한 첫번째 이론으로 기업의 거시경제 환경에 참조가 됩니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드 마케팅  (0) 2008.09.07
페르소나 마케팅  (0) 2008.09.07
소크라테스 효과  (0) 2008.08.25
노노스족,  (0) 2008.08.19
체리 피커  (0) 2008.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