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채권

 

1. 채권 일반

채권은 발행시에 보증 유.무, 만기일과 지급되는 표면금리, 그리고 이자지급 단위기간 등이 제시됩니다.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carry)시 수익률이란?>

 

채권의 만기까지 단위기간별로 발생하는 이자와 액면금액에 의해 이루어지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의 합을 채권의 가격과 일치시키는 할인율을 만기수익률, 시장수익률, 유통수익률 혹은 수익률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수익률을 변동시키는 원인은 내적,외적,해외요인 등이 있으며, 금리변화와 잔존기간과 듀레이션에 따른 채권가격 결정과정 이해가 필요합니다.

 

채권에 대한 투자 역시 여타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와 마찬가지로 주어진 위험제약하에서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동일한 발행주체에 의해 발행된 채권의 잔존기간과 수익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을 수익률의 기간구조라고 하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수익률곡선이라고 합니다.

 

시장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수익률곡선은 전체적인 수익률의 기간구조를 추정 가능하게 하여 줌으로써, 채권의 장.단기 수익률을 상대적으로 비교 가능케 해주고 미래 단기수익률의 기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익률곡선은 현시점에서 투자할 채권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투자된 채권의 향후 운용전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채권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증권회사들에 의해 작성되어 '한국금융투자협회'를 통해 발표되는 대표적 채권들의 '시장평가기준수익률'은 수익률 곡선의 한 예입니다.

 

이러한 수익률곡선이 그려진다면 투자자가 최대한의 수익을 얻는 곳에 해당하는 채권을 보유하려 할 것이며, 이것을 질문자께서 언급한 "캐리메리트"가 아닌 가 싶습니다.

 

2. 채권 매입 시 고려사항

독일에서 얼마 전에 국채발행에 실패했습니다. GDP대비 세계3위 국가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부실채권에 대한 언급이 지면이나 뉴스 등을 통해 가끔 접하게 됩니다. 나와는 상관없는 먼 얘기가 아닙니다. 저금리시대에 최근 회사채 특판이 인기가 많은데요. 판매하는 은행이나 종금사 각 증권사들이 편입한 채권에 대해, 채권에 대한 여러가지 위험들을 잘 필터링을 하는 지도 유념해서 거래해야겠습니다.

 

3. 장내거래

거래 규모로 보면 채권은 주식거래와는 달리 장외거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거래소'를 통한 장내거래도 이루어 집니다. 쉽게 얘기하면 주식거래와 마찬가지로 위탁계좌를 통한  HTS 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채권거래는 주식거래와 다른 점이 많습니다.

매매에 앞서 아래의 첨부파일과 관련 동영상 강좌를  이해하고 거래하시면 좋겠습니다.

 

4. CMA 관련

최근들어 여러가지 장점(보통예금과 같은 수시입출금, 계좌이체, 보통예금에 비해 많은 이율, 요건 충족 시 공모주청약우대 등)이 있는 CMA 계좌가 인기있는데요.

가입 시에 형식을 보면 크게 MMF 형, RP 형 이렇게 분류합니다.

 

MMF형 이란 국공채에 투자하여 이익을 얻는 구조

RP형은 환매조건부채권(채권 발행자가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발행한 채권) 에 투자하여 이익을 얻는 구조라서 보통예금 대비 높은 이율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CMA 계좌는 예금자보호법에 해당되지는 않으나, 국공채나 환매조건부채권에 투자하는 구조라 신용의 위험은 극히 적으며,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니 채권에 대한 공부를 병행하심 즐겁고 유익한 투자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  문충길 -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자본 투자(Proprietary Investment)  (0) 2009.05.21
새도우뱅킹시스템(Shadow Banking System)  (0) 2009.05.21
Bank Guarantee  (0) 2009.05.12
품질관리 기법(PDCA)  (0) 2009.05.03
회사채와 기업 어음의 차이  (0) 2009.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