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스위트 스팟(Sweet Spot)

 

원래 스위트 스팟이라는 용어는 스포츠 분야에서 나온 것이다.

바로, 테니스 라켓, 야구 배트 등으로 공을 맞힐 때,

특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장 멀리, 가장 빠르게 날아가게 만드는 부분,

즉 공을 맞히는 최적 지점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스위트 스팟은 스포츠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제 분야에서는, 과거에 누리지 못했던 경제 호황을 누리고 있을 때 그 시기를 들어 "가장 달콤한 시절"이란 의미로

스위트 스팟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마케팅에서는 소비자가 기업에 대한 친밀감이 극대화되는 순간 혹은 그 순간에 갖는 소비자의 느낌,

"소비자 심리 타점"이라는 뜻으로 통용된다.

 

스위트 스팟에 적중시키기 위해 알아야 할 3가지 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소비자 심리 타점을 알기 위해서는 소비자 심리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

기업 입장에서 아무리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대대적인 비용을 투입한 마케팅 활동이라 해도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면,

그것은 그저 시간과 돈 낭비에 불과한 활동이 되고 말 것이다.


둘째, 소비자 니즈의 충족 여부를 살펴야 한다.

경쟁기업들의 마케팅 활동을 통해 이미 충족된 니즈라면 똑같은 스팟을 겨냥하는 것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직 충족되지 않은 지점을 찾아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경험을 선사할 수 있어야 한다.

 

세째,  자사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이다.

소비자의 스위트 스팟은 소비자가 일방적으로 만들고 충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브랜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니 만큼, 수많은 니즈들 중에서 소비자가 우리 브랜드에 무엇을 기대하고 있고,

동시에 우리 브랜드가 충족시킬 수 있는 니즈는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특정 선수나 팀의 열렬 팬인 소비자들은 동일 대상을 후원하는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물론,

기업 메시지를 신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스포츠 스폰서십을 통해 소비자의 스위트 스팟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다.

한편 인기 있는 프로팀을 스폰서하는 것 외에 주목받지 못하는 유소년이나 장애인 스포츠를 적극 지원할 경우

감동은 물론 기업에 대한 친밀감, 신뢰가 기대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루토노미(Plutonomy)  (0) 2007.09.24
모노츠쿠리(もの造り)  (0) 2007.09.24
사과를 다른 과일과 함께 보관하면  (0) 2007.09.19
포디즘과 포스트 포디즘  (0) 2007.09.17
교집합 마케팅  (0)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