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 P&G 맥킨지 애플 펩시 등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이 선정한 2007년 세계 500대 기업 가운데 상위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기업이라는 점이다.
이와 함께 `브랜드 리더십(Brand Leadership)`을 펼치고 있는 기업이라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자신들 브랜드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 리더십 능력을 가진 최고경영자(CEO)와 임원 등을 양성하는 데에 집중하는 기업이라는 것이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는
`브랜드 리더십을 키워라(Building a Leadership Brand, 데이브 울리히ㆍ놈 스몰우드, 2007년 7월호)`라는 제목으로
기업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브랜드 리더십을 가진 리더가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브랜드 리더십을 가진 리더가 이끄는 기업은 고객과 투자자들에게 앞으로도 이 회사가 계속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이 같은 브랜드 리더십은 어떻게 키울 것인가. 우선 기본적인 리더십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캐나디안 타이어는 최고재무관리자(CFO)를 영업부서로 보냈다가 일정 기간 후
다시 홍보부서로 발령냈다. 본래 업무와는 다른 부서에서 일하도록 함으로써 임원들에게 부족했던 리더십 영역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스라엘 제약회사 테바는 기업이 추구한 목표에 맞게 리더를 발굴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약업계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뛰어난 과학자들을 영입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리더를 채용했다.
또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정받는 제품 개발`이라는 목표를 위해 임원들을 여러 국가에 파견해
각국 특색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했다.
브랜드 리더십이 어느 정도 구체화했다면 이를 소비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물건이 제 시간에 선적되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 시간에 소비자에게 도착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소비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들을 직접 기업의 평가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고객들을 기업 평가에 참여시키면 소비자들이 기업에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알 수 있고
기업이 할 일도 파악하게 된다.
브랜드 리더십이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면 이 기업은 훌륭한 CEO가 회사를 떠나더라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GE는 1972년부터 1981년까지 CEO를 역임했던 레그 존스를 시작으로 잭 웰치, 제프 이멜트 등 계속해서 뛰어난 경영자들을
배출하고 있다. GE는 브랜드 리더십을 확실하게 키웠기 때문에 뛰어난 CEO가 물러나더라도 주가가 흔들리는 일 없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2003년에 마이크로소프트 CEO인 빌 게이츠가 피살됐다는 오보가 났을 때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급락했다.
이 회사가 CEO 한 명에 얼마나 좌우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카리스마 있는 리더 한 사람에게 의존하는 대신 브랜드 비전에 맞는 경영자들을
체계적으로 키워내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일이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S (Software as a Service)와 ASP 차이 (0) | 2007.11.18 |
---|---|
무역 조건의 해석에 관한 국제규칙 (0) | 2007.11.18 |
네트워크 외부효과 (0) | 2007.11.12 |
애그플레이션 (0) | 2007.11.06 |
유비퀴터스의 개념 (0) | 2007.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