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략..
몸가짐과 마음 가짐에는 아홉가지 태도(九容)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고,
학문을 깊게하고 지혜를 더하는 데는 아홉가지 생각(九思)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
이른바 아홉가지 태도라는 것은 ,
발은 무겁게 가지고,
(경솔하게 들었다 놓았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른의 앞에 나아갈 때는 이에 구애해서는 안된다.)
손은 공손하게 가지고,
(손을 게으르게 늘어뜨리지 않는다. 아무 할 일이 없으면 마땋이 단정하게 팔짱을 끼고 망령되게 움직이지 말아야한다.)
눈은 바르게 가지고
(눈매를 안정시켜 똑바로 바라보고 흘겨보거나 곁눈질하지 않아야 한다. )
입은 신중하게 가지고
(말을 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가 아니면 항상 입을 움직이지 말아야한다.)
소리는 조용하게 가지고
(마땅히 형상과 기운을 바르게 가지고 조용히 내뇌, 재채기나 기침 따위의 잡된 소리를 내지 말아야한다.)
머리는 똑바르게 가지고
(마땅히 머릴를 똑바르게 들고 몸을 꼿꼿이 하고, 이리저리 돌리거나 한편으로 기우뚱하게 기울이지 말아야한다.)
숨소리는 맑게 가지고
(마땅히 코숨으로 고르게 하고, 거센소리가 나지 하지 말아야한다)
서있는 모습은 어젓하게 가지고
(중심을 잡아서 똑바로 서고 한쪽으로 기대서지 말고,엄연히 덕있는 기상을 가져야한다)
얼굴빛은 장엄하게 가지는
(얼굴빛을 경제하여 태만한 기색이 없도록 해야 한다)것이다.
이른바 아홉가지 생각이라는 것은
볼때는 밝게 보기를 생각하고
(보는 데 가려지는 것이 없으며 환해서 보이지 않는 것이 없다)
들을 때는 똑똑하게 듣기를 생각하고
(듣는데 막히는 것이 없으면 분명하여 들리지 않는 것이 없다)
얼굴빛은 온화하게 가지기를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하고 부드럽게 가져 ,노여운 기색이 없어야한다)
태도는 공손하기를 생각하고
(몸가짐을 단정하고도 장엄하게 해야한다)
말은 참되기를 생각하고
(한 마디 말을 하더라도 참되고 미더워야한다)
무슨일을 할 때는 공경하기를 생각하고
(한가지 일을 하더라도 공경하고 신중해야한다.)
의심스러울 때 묻기를 생각하고
(마음에 의심나는 일이 있으면 반드시 잘 아는 선배에게 물어서 틀림이 없도록 해야한다)
분할 때는 곤란하게 될 것을 생각하고
(성이 날 때는 반드시 자신을 징계하고, 이치로서 스스로 자신을 억제해야 한다)
이득이 생기면 의리를 생각해야 한다.
(재물이 생기게 되면 반드시 의로운 것인가 아닌가를 밝히고 의리에 합당할 때만 받는다)
- 중략-
공부를 하다는 것은 일상 생활하고 일하는 가운데 있는 것이다.
만약 평상시에 행동을 공손히 하고 하는 일을 공경히 하고 남과의 사이에 성실하면 이것을 곧 공부를 한다고 이름할 것이다.
책을 읽는 것은 이치를 분명히 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다
-중략-
사사로운 욕망을 억제하여 스스로 자기를 이기는 공부는 일상 생활에서 가장 긴요한 것이다.
이른바 자기라 함은 내 마음에 좋아하는 것이 하늘의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을 말한다.
-중략-
일이 있으면 이치로서 일을 처리하며, 책을 익으면 정성으로써 이치를 깊이 연구하라.
이 두가지를 제외하고는 조용히 앉아서 마음을 가다듬어서 고요하여 어지럽게 일어나는 생각이 없도록 하고,
분명하여 어리석은 실수가 없도록 해야한다.
......
마땅히 몸과 마음을 바르게 가져,겉과 속이 한결같게 하고 그윽한 데 있더라도 드러난 곳에 있는 것과 같이 하고 ,
혼자 있더라도 여러사람과 함께 있는 것과 같이 하여
내 마음을 저 푸른 하늘의 밝은 해처럼 남들이 환히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九容 중 여섯은 얼굴에 관련된 것이다. 나머지 세가지는 자세와 손과 발의 놀림에 대한 것이다.
그만큼 사람의 태도라는 것은 얼굴로 표현되는 것이다.
입에 미소를 머금는 것도 말라는 정도로 생각하면 고루해 보이기도 하겠지만
九容이 의미하는 바는 진실한 마음으로 얼굴에 책임을 지고 당당한 기상을 자신의 몸에 깃들게 하라는 것이다.
또한 九思 역시 구용과 다소 중복되는 면이 있지만 긍정적인 생각과 온화한 표정을 갖기에 힘쓰며,
신의를 가지고 말과 일을 도모할 것이며 자신의 거친 성정을 다스리라는 이야기다.
이 모든 것을 마지막 문장에 요약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 집안과 밖을 구분하지 못하는 세대에게는
구속이 될지모르나, 세상을 좀 살고 부모가된 세대에게는 정말 가슴 속 깊이 갈무리 되는 가르침이다.
마땅히 몸과 마음을 바르게 가져,
겉과 속이 한결같게 하고 그윽한 데 있더라도 드러난 곳에 있는 것과 같이 하고 ,
혼자 있더라도 여러사람과 함께 있는 것과 같이 하여
내 마음을 저 푸른 하늘의 밝은 해처럼 남들이 환히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