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가 솟지 않아 고민하십니까? '왜 난 천재가 아닐까'라며 낙담하고 계십니까?
창조성이 강조되는 시대,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 봤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천재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노력 없이 타고난 재능만으로 그토록 뛰어난 창의력을 발휘한 것일까요?
그러나 세계적인 안무가 트와일라 타프(Twyla Tharp)는 이렇게 말합니다.
"누구나 창조적이 될 수 있다. 가장 훌륭한 창조성은 습관과 성실함의 결과로 나오는 것이다.
천부적 재능이 없다는 것은 핑계일 뿐이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창조성이 선천적인 것이라는 관념을 가장 거부하는 사람이야말로 창조적인 천재들 본인이다.
세계적인 안무가이자 현대무용가인 트와일라 타프(Twyla Tharp·67) 역시 '노력 없는 창조성'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 중 하나다. 그는 '창조적 습관(2003)'이란 저서에서 '창조성의 핵심 포인트는 바로 노력을 습관화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는 맨해튼에 있는 그의 집에서
창조성을 기르고, 변화를 이끌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창조적 습관'이라는 저서에서 창조성은 실용적이고, 기계적인 노력이라고 하셨는데요.
'습관'이라고 하면 지루하게도 들리는 것 같아요. 책에서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은 창조성을 즐기자는 것이었죠.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할 수 있어요.
저는 모든 사람이 창조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다만 평소에 일상적으로 준비를 해야죠.
그것 말고는 방법이 없어요.
예술은 실용적이지 않고, 비즈니스는 창조적일 수 없다는 생각은 아주 잘못된 것이에요.
가장 좋은 예술가는 아주 실용적이어야 돼요. 제가 아는 가장 창조적인 미술가들은 가능한 모든 것을 재료로 사용하죠.
제가 일을 할 때도 그래요. 모든 게 다 소재예요. 하지만 평소에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면, 즉 '습관(habit)' 말이죠,
그 소재를 볼 수도 없고, 그 소재를 활용할 노하우도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사람들은 태어날 때 특별한 재능을 타고 나는 것도 사실이에요.
하지만 저는 유전을 핑계로 대는 것을 싫어합니다.
사람들은 '나는 천부적 재능이 없어 할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기 자신을 넘어 보세요!
가장 훌륭한 창조성은 습관과 성실함의 결과로 나오는 거예요."
―창조적인 사람이 되고 싶으면 모방을 하라고 하셨는데요, 그렇게 되면 독창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하고 싶은 말은 다른 사람들이 한 큰 일 때문에 너무 주눅들지 말라는 것입니다.
브람스가 전형적인 예입니다. 브람스는 뛰어난 음악가였지만 베토벤을 너무나도 존경한 나머지 40대 중반이 되도록
교향곡 1번을 내놓지 못했죠. 얼마나 많은 시간 낭비였나요. 겁을 먹었기 때문이죠.
브람스는 '내 1번 교향곡은 베토벤 교향곡 9번보다 나을 리 없어'라고 생각한 겁니다.
실제 그럴지도 모르죠. 그래도 일단 해보고 계속 밀고 나가는 게 어떨까요?
개인적으로 저는 독창성에 대해서는 전혀 걱정하지 않아요.
제가 한 것을 전에 다른 사람이 하지 않았을까요? 아마도 그렇겠죠.
하지만 나는 그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요. 나는 그걸 이용할 것이고, 계속 밀고 나갈 거예요.
물론 진정한 배움은 베끼는 게 아닙니다.
모방은 다른 사람의 '해법'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배움은 다른 사람의 '문제'를 받아들이는 겁니다.
같은 문제를 놓고 일하는 것은 배움에 방해가 되지도 않고, 독창성 결핍을 가져오지도 않습니다."
-최근 많은 경영 서적들은 높은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실패가 필요하다고 외칩니다. 동의하십니까?
"동의합니다. 모든 진정한 변화는 실패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때 실패란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는 그 실패가 아닙니다.
당신이 그저 아는 것만 하고, 또 그것을 아주 잘 한다면 당신은 실패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은 정체되고 당신의 일은 점점 재미를 잃어가고, 결국 실패로 이어집니다.
진정한 실패는 훈장과도 같은 것입니다. 뭔가 새롭고 다른 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요.
가장 바람직한 실패는 공개되지 않은 사적(私的·in private)인 실패입니다.
이를테면 제가 사무실에서 만들어보는 안무의 실패와 성공의 비율은 6대 1 정도가 될 겁니다.
즉 저는 최종적으로 쓸 작품보다 6배나 많은 작품을 만들어 봅니다.
제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그 사용되지 않은 습작들이 필요한 것이죠.
물론 때로는 공개적으로(in public) 실패하기도 하죠. 그럴 때면 고통스럽습니다.
하지만 이런 실패 역시 쓸모 없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는 당신으로 하여금 자제하게 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합니다."
―스티브 잡스가 당신을 찾아 온다면 어떤 충고를 하시겠습니까?
"엎드려서 팔굽혀 펴기를 30번 하라고 하겠습니다.
모든 사업가들에게 제가 가장 먼저 하고 싶은 말이죠. 움직이세요.
몸을 움직이면 당신의 뇌도 더 잘 움직이게 됩니다.
움직임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뇌를 자극합니다."
저는 또 기업인들에게 여행을 덜 다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그들이 그렇게 여행을 많이 다니면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기 바라는지 모르겠어요.
한때 영화 '아마데우스' 안무를 하던 해 전 세계를 5번 돌았죠.
그때 얻은 교훈이 바로 여행 다니지 말자는 것이었습니다.
일상을 유지하고, 잠을 자고, 운동할 시간을 갖는다는 게 거의 불가능하죠.
스티브 잡스에게 말할 겁니다. '함께 춤춰요.' 이렇게요."
트와일라 타프 (Twyla Tharp)
1941년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태어난 세계적인 안무가이자 현대 무용가다.
2003년 빌리 조엘의 음악에 맞춰 안무한 '무빙 아웃'으로 토니상을 받았고, 에미상과 맥아더 펠로우십도 수상했다.
1965년 무용계에 첫발을 내딛은 이후 조프리 발레단, 뉴욕시티 발레단, 파리 오페라 발레단, 런던 로열 발레단,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등 세계 유수 발레단의 안무를 맡았다. 직접 무용단을 만들어 작품을 내놓기도 했다.
그가 지금까지 안무해 무대에 올린 횟수만 130번이 넘으며, 이는 모두 고전이 됐다.
바흐·모차르트·베토벤에서 프랭크 시나트라, 브루스 스프링스틴까지 시공(時空)을 넘나들며
다양한 음악을 작품에 녹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화 '헤어(Hair)', '아마데우스', '백야'의 안무도 맡았다.
정리=김승범 산업부 기자 sbkim@chosun.com
+++++++++++++++++++++++++++++++++++++++++++++++
교양,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책을 다시금 떠올립니다.
무용 역시 인문이군요.
'경영이야기(CEO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 사례연구] 면장아들의 성공기 이병찬 하나투어재팬 사장 (0) | 2008.05.21 |
---|---|
[CEO연구] 성공한 미국 기업인의 공통점 (0) | 2008.05.21 |
[CEO 사례 연구] 기옥(59) 금호석유화학 사장 (0) | 2008.05.13 |
[CEO연구] CEO와 인문학 공부 (0) | 2008.05.09 |
[CEO사례연구] 김종훈(59) 한미파슨스 사장 (0) | 200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