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회계_ 거래의 8요소

 

 

[거래의 8요소]

 
회계학에서는 하나, 하나의 회계적 의미를 지는 의사결정을 거래또는 사건이라 한다.

회계적 실무적인 처리는 거래를 차변과 대변을 분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차변과 대변으로 거래내용을 분류처리를 위해서는 거래 8요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거래 8요소는 다음과 같다. 

 

 차            변    대            변
------------    -------------

①자산의 증가    ②자산의 감소
③부채의 감소    ④부채의 증가
⑤자본의 감소    ⑥자본의 증가
⑦비용의 발생    ⑧수익의 발생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일치해야 한다는 복식부기의 기본 원리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이해하고 암기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거래의 8요소를 정리해 보면, 

 

▲차변은 '좌측(왼쪽, 좌변)'이고 대변은 '우측(오른쪽, 우변)'이다.
▲대차대조표의 차변에는 자산을 대변에는 부채와 자본을 기록한다.
▲손익계산서의 차변에는 비용을 대변에는 수익을 기록한다.
▲자산과 비용은 차변이고 부채·자본·수익은 대변이다.

 

아무리 복잡한 상거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거래의 8요소' 활용하면 실무적으로 거래내용을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에 대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용의 발생 / 자산의 감소
  
현금 1,000,000원을 주고 장부와 전표 등 사무용품을 구입했다고 하자.

현금이 나갔으니 '자산의 감소'요 사무용품비 또는 소모품비가 증가했으니 '비용의 발생'이다.

따라서 차변(왼쪽)에 사무용품비 또는 소모품비를 기록하고 대변(바른쪽)에 현금을 기록한다.

이를테면 '사무용품비 1,000,000원(차변 : 비용의 발생) / 현금 1,000,000원(대변 : 자산의 감소)'으로 회계 처리하는 것이다.

 

*자산의 증가 / 자산의 감소, 수익의 발생
 
컴퓨터 대리점인 거래처로부터 오래 경과된 외상매출금 1,000,000원과 연체이자 50,000원을 회수하는 대신 노트북 한 대를 받았다고 치자. 
 외상매출금(매출채권, 유동자산)이 없어졌으므로 '자산의 감소'요 수입이자(영업외수익)가 생겼으니 '수익의 발생'이다.

또 비품(고정자산)이 늘어났으니 '자산의 증가'가 된다.

따라서 차변(왼쪽)에 비품을 기록하고 대변(바른쪽)에 외상매출금과 수입이자를 기록한다.


이를테면 '비품 1,050,000원(차변 : 자산의 증가) / 외상매출금 1,000,000원(대변 : 자산의 감소), 수입이자 50,000원(대변 : 수익의 발생)'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물론 거래 과정에서 노트북 공급가의 10%를 부가세(105,000원)를 현금으로 지급했다면

이를 추가하여 분개하고 전표를 작성해야 한다. 이를테면 '선급부가세 105,000원(차변 : 자산의 증가) / 현금 105,000원(대변 : 자산의 감소)'로 처리하는 것이다.  

 

*부채의 감소 / 부채의 증가
 
외상매입금 1,000,000원을 갚기 위해 약속어음 1,000,000원을 발행하여 결제했다고 치자.

외상매입금(매입채무, 유동부채)이 없어졌으므로 '부채의 감소'요

지급어음(매입채무, 유동부채)이 생겼으니 '부채의 증가'다.

따라서 차변(왼쪽)에 외상매입금을 기록하고 대변(바른쪽)에 지급어음을 기록한다.


이를테면 '외상매입금 1,000,000원(차변 : 부채의 감소) / 지급어음 1,000,000원(대변 : 부채의 증가)'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자산의 증가 / 수익의 발생

현금 1,000,000원을 받고 물건을 팔았다 치자.

 

현금으로 판매했을 때는 '현금 1,000,000원(차변 : 자산의 증가) / 매출 1,000,000원(대변 : 수익의 발생)'으로 처리한다.

 

외상으로 판매했을 경우 '외상매출금 1,000,000원(차변 : 매출채권, 자산의 증가) / 매출 1,000,000원(대변 : 수익의 발생)으로 분개하고 회계 처리한다.


그렇다면 ①약속어음 1,000,000원을 발행 교부하고 원재료 1,000,000원을 구입했을 경우

②약속어음 1,000,000의 만기가 돌아오자 당좌예금 구좌에서 자동 결제되었을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①차변(왼쪽) : 원재료(유동자산, 재고자산, 자산의 증가) 1,000,000원 / 대변(오른쪽) : 지급어음(유동부채, 매입채무, 부채의 증가) 1,000,000원.


②차변(왼쪽) : 지급어음(유동부채, 매입채무, 부채의 감소) 1,000,000원 / 대변(오른쪽) : 현금예금(유동자산, 당좌예금, 자산의 감소) 1,000,000원이 될 것이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자 도산이란?  (0) 2008.11.24
앰비언트 광고  (0) 2008.11.20
경기와 금값  (0) 2008.10.24
외국인직접 투자(IFDI;Inward FDI)  (0) 2008.10.22
트라이버타이징(Tryvertising)  (0) 2008.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