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흑자 도산이란?

 

흑자도산이란 장부상으로는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는데도 불구하고 기업이 부도가 나는경우를 일컫는 말이다.

 

그 기본적인 유래는 장기적인 투자자산이나 고정자산으로 발생하는것이 아니라 당좌자산이나

유동자산이 일시적으로 원활하게 유동성을 공급하지 못하는경우 유동성의 어려움으로 부도를

내게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기업이 장단기적 미래전망이 밝고 영업실적도 호전을 보이고 있는터라 경영자는 보다 공격적인

경영을 하고자 보다 과감한 투자와 영업계획을 세워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나 고객점유율등을

높이기위해 단기적 여유자금은 단기대여를 하거나 유가증권에 투자를 하고 매출에 있어서도

지금까지는 3개월 만기까지의 어음을 한도로 하였으나 최대한 만기를 보장하는 선에서 매출액을

급속히 늘리기 시작하여  어느정도 시간이 흘렀다고 한다면, 이 시점에서 단기대여금을 회수하려니

자금사정이 어렵다고 만기연장요청이 들어오고, 매입취득한 유가증권은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깡통계좌에 불과한상황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거래처의 파산등으로 외상매출금에 대한 회수가

불가능하게되는 금액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커지고 있지만 당사는 이에대한 대처를 위한

대손충당금설정등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상황이 몇개월 지속되는동안 회계기말이 되어 결산을

하게되었는데 기업내 운전자금의 부족으로 자금의 유동성이 급격히 악화되었다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경기가 하강국면에처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단기자금을 대출 받고자 하나 은행들의

대출도 어려운상황이다.

 

이때 재무제표를 작성하게되면 당좌자산, 재고자산등이 상당한 금액으로 계상되어 장부상으로는

흑자를 기록하게된다. 그런데 기업은 지금당장 사용할 자금이 없고 지난기간동안 발행한 어음은

만기가 되어 돌아오는 상황이되어 자금을 융통시키고 돌아온 어음을 막으려하지만 당장 마련할

자금이 없는 관계로 발을 동동구르며 앉아서 어음을 부도처리하게된다.

이와같이 유동자산 당좌자산, 재고자산이 기업이 예상했던 것보다 큰금액으로 기록되고 있지만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정확히 현금화되어 기업에 유입되지 못해 일시적으로 자금난에 처한경우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융통하지못하면 그 즉시 돌아온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가난다.

이러한경우를 흑자도산이라고 말한다.

 

쉽게 설명하면 대차대조표에 재고자산등의 금액은 천문학적숫자로 계상되어있지만 매출채권이

계획대로 회수되지않아 회사의 자금운용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도가되는경우 를 말한다.

이러한 일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상으로는 재무건전성내지 튼튼한 기업으로 생각되는데

자금운용계획의 차질로 이렇게 장부상으로는 좋은 경영실적이지만 도산하게되는 원인을 찾아낼수

없게되어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새롭게 도입된 재무제표가 현금흐름표이다.

현금흐름표는 회계연도초의 현금과 회계기간중의 현금흐름을 집계하여 회계기말의 현금흐름을

계산하는 재무제표로 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가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는 부분을 정확히 예측하여

기업의 원활한 현금흐름을 알아내는데 매우 유익한 재무제표로 도입되었다.

이와같이 기업의 일시적 자금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재무건전성에도 불구하고 흑자도산을 하게되는

것을 막아보고자 도입된 현금흐름표를 활용한다면 현금흐름을 정확히 예측하여 흑자도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현금흐름표작성을 의무화하고 있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레토 법칙  (0) 2008.11.30
은행마다 환율이 다른 이유  (0) 2008.11.24
앰비언트 광고  (0) 2008.11.20
회계_ 거래의 8요소  (0) 2008.11.08
경기와 금값  (0) 200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