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 20 법칙의 발견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 : 1848∼1923)가
처음 주창한 것으로 19세기 영국의 부와 소득의 유형을 연구하다가 발견한 부의 불균형현상으로
전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어떤 시대, 어떤 나라를 분석해 봐도 이러한 부의 불균형 비율이 유사하게 존재한다.
다른 예로서,
- 20%의 운전자가 전체 교통위반의 80% 정도를 차지하며
- 20%의 범죄자가 80%의 범죄를 저지르고 있고,
- 20%의 조직원이 그 조직의 80%의 일을 수행하고 있으며
- 전체 상품 중 20%의 상품이 80%의 매출액을 차지할 뿐 아니라
- 전체 고객의 20%가 또한 전체 매출액의 80%를 기여하고 있다. 80 대 20 법칙
국가적으로 보면 우리 나라의 4대그룹이 나라 전체 경제를 지배하고 있고,
20%의 국민이 80%의 부를 소유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보면 운전자의 20%가 전체 교통위반의 80% 정도를 차지하며
20%의 범죄자가 80%의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개인적으로 볼 때, 집에 있는 옷 중에서 20%정도의 옷을 옷 입는 시간의 80%정도 입고 다니며
노래를 부를 때도 18번이라 하여 좋아서 부르는 노래는 같은 곡목을 반복해서 부르고 있다.
노래 부르는 기회 10번 중 8번은 십중팔구 같은 곡을 부르고 있지 않은가.
조직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여러 분야에서 나타난다.
즉, 20%의 조직원이 80%의 일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체 상품 중 20%의 상품이 80%의 매출액을 차지할 뿐 아니라
전체 고객의 20%가 또한 전체 매출액의 80%를 기여하고 있다.
파레토가 19세기 영국의 부와 소득의 유형을 연구하다가 발견한 부의 불균형현상은 다음과 같았다.
전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10%의 인구가 65%의 부를
그리고 5%의 인구가 50%의 부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파레토가 놀란 사실은 어떤 시대 어떤 나라를 분석해 봐도
이러한 부의 불균형 패턴이 유사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이었다.
그 후 하버드 대학의 조지 집스박사는 1949년에 사람, 물건, 시간, 기술 등 생산적인 자원은
스스로 노동을 최소화하도록 조정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20∼30%의 자원이 70∼80%의 결과를
이루어낸다는 최소노력의 법칙인 집프의 법칙을 발표하였다.
또한 세계 최초의 품질 컨설턴트로 인정되는 미국 엔지니어 조셉 주란은
1951년에 출간한 품질관리 핸드북에서 80대 20법칙의 다양한 예를 소개하였는데
특히 품질저하의 분포에도 적용함을 강조하였다.
불량원인 중 20%의 요인이 80%의 불량품을 만들기 때문에 20%의 불량요인을 없애는데 집중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IT 산업에도 적용된 80대 20법칙
이러한 80대 20법칙을 활용하여 성공한 최초의 기업으로 IBM을 꼽을 수 있다.
제3세대 컴퓨터시대의 기원인 System/360의 OS는 당시 컴퓨터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20%의 운영 코드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었다.
RISC시스템 역시 같은 맥락에서 80대 20법칙을 적용하여 만든 컴퓨터이고,
PC에서 사용되는 Window OS도 이러한 80대 20법칙을 사용하여
값은 더욱 싸지고 사용하기는 더 쉬운 컴퓨터가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다.
응용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사용자가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 때문에 고가의 사용료를 지불해야 되고,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포넌트로 모듈화되어 가고 있다.
전체 프로그램 사용시간 중 80% 시간을 쓰는 20%만의 기능들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하여
쓰기 쉽도록 만드는데 소프트웨어 기술자들은 80%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자료의 홍수 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분야에서도
핵심이 되는 20%의 고객, 20%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80대 20법칙의 접근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거두는 80대 20의 법칙은 적은 종류의 제품을 소수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조직이 많은 수익을 낸다는 단순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조직의 업무흐름도 단순화시켜야 됨은 물론 개인의 목표도 단순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