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키본드[ yankee bond ] – 미국채권시장에서 발행되는 채권
양키 본드란 외국채의 일종미며 ,미국 시장에서 비거주자가 발행하여 유통되는
미달러 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기업이 뉴욕금융시장에서 달러화 표시채권을 발행,
미국 투자가들이 이를 인수했다면 이것이 바로 양키 본드이다.
1974년 이자평형세의 폐지로 활성화, 1989년에는 1,00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
미국 자본시장은 유럽이나 다른 외국 자본시장에 비해 매우 안정돼 있고
낮은 금리로 장기 달러자금을 차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외국 기업들은
양키 본드 발행을 선호한다.
발행절차 : 미국내의 주요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Inc.)나
스탠더드 앤드 푸어(Standard & Poor’s)로부터 신용등급을 획득해야 하고, R/S
(registration statement: 투자등록 서류)를 작성하여 미국 증권관리위원회(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앞으로 등록해야 함.
일반적으로 채권의만기는 5~10년의 중기채이며, 지명도가 높은 차입자는 20~25년의
장기채 발행도 가능.
양키 본드의 특징은 2~3억 달러의 대규모 자금을 10~40년 장기의 고정금리로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려운 시장진입 여건에도 양키 본드를 발행하면 발행자의 신뢰성을
여타시장에서도 인정받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12월 처음으로 산업은행이 3억 달러의 양키 본드를 발행한
바 있고, 1991년 4월에는 수출입은행이 3억 달러를 기채했다. 1992년에 한국전력과
삼성전기가 미국 증권관리위원회(SEC)로부터 우수한 신용평가를 받아 발행하였다.
불독본드[bulldong bond] – 영국에서 발행되는 채권
영국의 런던증권시장에서 비거주자에 의해 발행되는 파운드 표시외채를 지칭하는 것.
미국의 양키본드, 일본의 사무라이본드와 함께 국제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대표적인
국제채권이며, 1979년 10월 영국이 외환관리 규제를 철폐한 후 1980년 7월에 덴마크
정부가 런던시장에서 최초로 7천5백만 파운드를 발행하였다.
불독본드의가격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영국국채에 프리미엄이 붙어서 결정되고 있지만
공모나 사모 모두 런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다.
(국제채권은 발행지역에 따라 비거주자가 역외에서 발행하는 채권과
채권표시 통화국의 국내법에 따라 국내에서 비거주자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나누어짐.)
사무라이본드 - 일본에서 발행되는 채권
일본의 채권시장에서 외국 정부나 기업이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
미국의 양키본드, 영국의 불독본드와 함께 국제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대표적 국제채권.
원리금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보통 대규모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하기 때문에 5년 이상의
장기채가 많다.
1970년 12월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처음으로 발행하였고, 한국에서는 지방자치
단체인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 외에 포스코㈜.한국전력공사.한국산업은행 등이
이 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특히 한국산업은행은 2002년 7월 일본의 다이와증권과 300억엔 규모의 사무라이본드
발행 계약을 맺고 자금을 조달하였는데, 1978년 사무라이본드 시장에 진출한 이후
처음으로 연1% 이하인 0.91%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였다.
불독본드(영국)등으로 불리며 유로채에는 김치본드(한국), 쇼군본드(일본)등의 별칭이 붙는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타임엔터프라이즈(RTE) (0) | 2009.06.20 |
---|---|
팬텀플랜(Phantom Plan) (0) | 2009.06.20 |
에스크로서비스 [escrow service] (0) | 2009.05.21 |
자기자본 투자(Proprietary Investment) (0) | 2009.05.21 |
새도우뱅킹시스템(Shadow Banking System) (0) | 200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