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토론토에 소재한 금광회사 골드코프. 이 회사는 1999년 파업과 금광산의 고갈로 파산에 임박했다. 새로운 금광을 찾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었다.
급기야 회사는 채굴업에 아무 경험이 없는 뮤추얼펀드매니저 롭 맥이웬에게 넘어갔다. 회사를 인수한 맥이웬 사장은 “금광 개발만이 살 길”이라며 1000만달러를 지원, 전방위적인 탐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대부분의 직원들은 사장이 미쳤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탐사는 계속됐고 깊은 땅속까지 시굴했다. 놀랍게도 몇 주 후 지질학자들은 골드코프가 채굴하는 현재 금광의 약 30배 되는 새로운 금광 개발 가능성을 보고했다. 하지만 그 후 수년간 계속된 탐사에도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좌절감에 빠진 맥이웬 사장은 해결점을 찾던 중, 리눅스 개발자들이 SW 소프트웨어(SW) 코드를 공개해 수천 명의 전문 프로그래머들을 끌어들여 새로운 컴퓨터 운영체제를 완성한 사례에 주목했다. 이에 맥이웬 사장은 금광 탐사 과정을 모두 공개하기로 결정한다. 어디서 금을 찾아낼 수 있을지 전 세계 지질학자들에게 공개적으로 묻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직원들이 1948년부터 수집한 모든 자료를 공개하기로 했다. 하지만 사내 지질학자들의 반대가 심했다. 광산업은 은밀한 산업이므로 지질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어리석다는 논리였다.
맥이웬 사장은 흔들리지 않았다. 드디어 2003년 3월 총 57만5000달러의 상금이 걸린 ‘골드코프 챌린지’ 콘테스트를 열었다. 골드코프가 개발 중인 약 2만2248㎡(6730만평) 광산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효과는 컸다. 50여개국에 흩어졌던 전문가 천여 명이 몰려 110곳의 후보지를 찾아냈다. 새로운 후보지의 80% 이상에서 무려 220톤의 금이 쏟아졌다. 매출 1억달러의 회사는 90억달러의 거물기업이 됐다.
맥이웬 사장은 “회사 내부의 직원들만 매달렸다면 불가능했던 금광 탐사가 외부 세계와의 대규모 협업 전략 덕분에 탐사기간을 2~3년 단축할 수 있었다”고 강조한다.
기업 밖의 자원을 회사 안의 자원처럼 활용하는 ‘오픈 소스(Open source)’ 전략이 기업 성장의 새로운 무기가 되고 있다. 위키노믹스의 저자 돈 탭스코트는 “수십억 명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대규모 협업이 혁신이나 부의 생성은 물론 사회 발전까지 이끌고 있다”고 말한다. 대규모 협업이란 기업이 혼자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회사 밖 자원(인재와 생산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온라인 최대 백과사전 위키피디아도 협업의 산물이었다. 50개국의 네티즌들이 5년 만에 200년 역사의 브리태니커사전의 정보량을 능가하는 인터넷 백과사전을 탄생시켰다. 능력이 뛰어난 ‘집단 지성’이 대거 참여해 백과사전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이다.
인텔은 2001년 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시애틀 워싱턴 근처에 연구소를 설립했다. 산학 협업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최고 대학을 선택해 그 대학 교직원들의 두뇌를 활용하기 위해서다. 연구소는 대학교 연구원들에게 연구비를 지급해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성과가 좋자 카네기멜론대와 영국 캠브리지대 근처에도 연구소를 추가해 ‘협업 연구소를 만들었다.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윈·윈 협업 모델이 기업 경영의 새로운 모델이 되고 있다. 이베이와 아마존의 성공도 협업 모델에서 비롯됐다. 두 회사는 다른 쇼핑몰과 연계할 수 있는 ‘SW 개발자 생태계’를 만들었다. 원하는 기업은 누구든지 이베이와 아마존 사이트의 제품 데이터베이스(DB)에 연결할 수 있게 했다.
이 결과 외부 SW 개발자들은 이베이와 아마존을 효율적으로 쇼핑할 수 있는 SW를 만들어냈다. 외부 매출이 급증했고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동력은 더욱 강력해졌다. 이제 기업들에는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 세계 두뇌와 생산 시설을 ‘오픈 소스’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오픈소스(Open source) : 기업 밖의 자원을 회사 안의 자원처럼 활용하는 경영 전략. 인력과 생산시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성공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다른 사람들의 노력과 다른 사람들의 돈을
하나로 묶어 낼 수 있는 능력에 달렸다.
'경영이야기(CEO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 연구] 거대기업 공략법 (0) | 2010.01.15 |
---|---|
[CEO연구] 17% Rule (0) | 2010.01.15 |
[CEO 사례 연구]SAS 인스티튜트 짐 굿나잇 회장 (0) | 2010.01.04 |
[CEO사례 연구] 삼구개발 구자관 대표사원 (0) | 2010.01.03 |
[CEO연구] 대박 아이디어와 경청 (0) | 200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