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꿈을 가져라
미국의 하버드 대학 심리학 연구소에서 65세 정년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는데 정년 퇴직자들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의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홀로 서기
노인층'. 이들은 이 설문의 응답자 중 3%로 퇴직 후에도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최고의 부와 명예를 누리며 떳떳하게 살아가는 노인들이었다.
두 번째 유형은
'불편 없는 노인층'. 이들은 응답자 중
10%로 별 불편 없이 퇴직 전과 마찬가지로 여생을 사는 노인들이었다.
세 번째 유형은
'겨우겨우 노인층'. 이들은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60%로 하루 하루를 겨우 살아가는 노인들이었다.
네 번째 유형은‘무기력 노인층’. 이들은 혼자서는 도저히 살 수 없는 노인들로
응답자 중 27%에 해당하는데 자선단체나 구호 기관,
양로원 등 남의 도움 없이는 살 수 없는 노인들이었다.
이 연구소는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이들을 다시 만나 조사를 해보았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4가지 유형의 노인층이 젊어서 각기 다른 인생관을 갖고 있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유형인 '홀로 서기
노인층'은 젊어서부터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 이를 글로 써 놓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행동으로 옮겨갔다고 답했다.
두 번째 유형인 '불편 없는
노인층'은 나름대로 인생의 목표는 있었지만 그것을 글로 써 놓지 않아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했다고
술회했다.
세 번째 유형인 '겨우겨우
노인층'은 인생에서 성공해야겠다는 목표는 있었지만 막연히 생각만 했지 실천하지 못해 그 꿈은 단지
백일몽에 지나지 않았다고 아쉬워했다. 마지막 '무기력
노인층'은 인생에 있어 아예 어떤 목표는 고사하고 꿈조차 없었다고 말했다.
또 하나 재미있는 조사를 보자.
1953년 미국의 예일 대학교에서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지금
현재 당신은 구체적인 목표를 글로 써서 소지하고 있습니까?' 이 질문에 졸업생 중 단지 3%만이 글로 자신의 목표를 써서 갖고 있노라고 대답했다.
나머지 97%의 졸업생은 그저 인생의 목표를 생각만 하거나 아니면 장래에 무엇이 되겠다는
등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그 뒤로 20년이 지난 후 예일
대학교는 1953년 졸업생 중 생존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공 여부(경제적인 부유 정도)를 조사했다.
그런데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3%에 해당하는 즉 졸업 당시 인생의 목표를 글로 써서
가지고 있었던 집단의 재산이 나머지 97%( 졸업 당시 목표를 글로 써서 가지고 있지 않았던
졸업생)의 재산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금까지 든 두 가지 사례는 인생에 있어 명확한 '목표가 있느냐, 없는냐'
하는 사소한(?) 차이가 결국에는 삶의 큰 차이를 만든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인생에서 간절히 바라는 목표를 하나의 글로 만드는 사소한 작업이 인생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성공 인생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성취해야 할 꿈과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 만약 없다면 지금 당장 그 꿈을 찾아 나서 보자.
잃었던 당신의 꿈을 찾는 데 주력해 보자. 하얀 백지 위에
'OO의 꿈 목록'이라고 큰 제목을 붙이고,
당신의 꿈을 그대로 올려놓아라. 다소 멋쩍고 이상할 수 있지만 한두 개씩 써 가다 보면
자신에 대한 새로운 면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활력,
활기, 자신감, 희망, 가능성 등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만약 당신이 꿈의 목록에
100가지를 올려놓았다면 이미 당신은 성공 인생을 향한 첫발을 힘차게 내딛었으며, 절반의
성공을 손에 쥐게 된 셈이다. 과녁 없이 명중은 없는 법이다.
당신의 꿈의 목록을 바탕으로 당신이 가장 하고 싶은 것, 가장 되고 싶은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해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 보아라. 왜냐 하면 목표를 글로 써 놓으면 다음과 같은 좋은
점이 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목표를 지니게 돼 시간을 허비하지 않게 된다. 글로 쓴 목표는 가치에 대한 신념을 심어 준다. 글로 쓴 목표는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목표는 자존심을 높여 준다. 목표
의식과 인생에 대한 기대를 낳는다. 훌륭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준다. 글로 쓴 목표는 갈등을 줄여 준다. 목표는 최대의 자신감을
준다.
이런 말이 있다.
"누구나 1등을 할 수 없지만 누구나 성공을 할 수는 있다." 올 여름 휴가땐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내보자. 그래서 자신의
잃어버린 꿈을 찾아보고, 그것도 일장춘몽이 아닌 최고와 정상을 향한 꿈을 꾸자. 그래서 무더위로 지친 심신에 활력과 자신감을 힘껏 불어넣자.
당신은 당신 생각만큼만 된다.
어떤 꿈을 가지느냐가 미래를 결정한다.
'목적이 이끄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보다 2배 성장하는 법 (0) | 2006.08.21 |
---|---|
일주일의 의미 (0) | 2006.06.13 |
변화 계시록에 나오는 숫자 "1111" 과 "11111" (0) | 2006.06.07 |
행복의 공식은 P+(5xE)+(3xH) (0) | 2006.05.11 |
[가장 멋진 인생이란? ] (0) | 2006.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