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자닌 파이낸싱(Mezzanine financing)
- 의의 : 은행과 벤처캐피털회사 등이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인수 또는 신주인수권, 주식전환권 등
주식관련 권리를 취득하는 대신 무담보로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기법.
- 유래 : 메자닌은 건물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라운지 등의 공간 즉, '중간방'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대출방식이 담보와 신용 사이에 있다는 의미).
- 목적 : 성장단계에 있는 기업이 제3자의 자본참여에 따른 소유권 상실의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인수,합병, 성장 가속화 등을 위한 양질의 자금을 조달.
- 특징 : 은행 등 대출기관이 출자전환권을 행사해 대주주가 되더라도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음.
벤처기업들은 담보나 신용이 없어 일반대출이 어렵지만 CB인수 등은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으로 은행은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음. 은행은 주식연계 신용공여 때 벤처기업에 대한 사외이사 및 재무관리 전문인력을
파견해 실질적인 경영지도와 감시를 강화함. 부동산 융자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적인 우선채권 및 차순위채권은
담보대출에 속하며, 부동산투자신탁(REITS)을 비롯한 새로운 융자 수단이 정책적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
메자닌 파이낸스는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
부동산업체의 입장에서 메자닌 파이낸스는 신축성이 강한 융자방식으로 모집자금의 특수한 요구에 따라 조정이 가능
메자닌 파이낸스 제공자는 대출금 상환방식을 조정함으로써 채무자의 현금흐름 및 기타 특징에 부합할 수 있음
(예: 일부 메자닌 투자는 투자자가 일부 이익 배당에 참여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주식 투자 방식과
유사함. 또 일부 메자닌 투자는 투자자가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에 있어 우선주 혹은
전환사채와 유사한 특징을 지님).
- 사례1 : 지난 2004년 크라운제과가 메자닌 파이낸싱을 이용, 자신보다 덩치가 2배나 큰 해태제과를 인수
(메자닌 채권은 대출과 투자의 중간단계 즉, 선순위 채권과 후순위채권의 가운데에 존재함.
그만큼 채권의 권리 관계가 복잡해 채권을 발행하는 쪽에서는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고
투자자를 잘 설득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음.
고수익을 노리면서도 안전성을 어느 정도 원하는 투자자들을 상대로 자금을 끌어올 때 적합함.
대출은 대부분 금융회사가 담보를 취득하고 자금을 대출.
고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대출 기간중에는 이자를 받고 만기 때 원금을 회수할 수 있음.
채권은 대상 기업의 장래 수익성을 보고 투자함.
특히 메자닌 채권을 이용한 자금조달은 대출처럼 이자도 주고 만기에 원금을 회수할 수 있음.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무의결부 상환전환 우선주(RCPS)는 메자닌 채권의 대표적인 종류들임).
- 사례2 : 지난 2006년 이랜드는 메자닌 방식을 동원해 약 5천억원의 자금을 유치하여 한국까르푸를 인수
(메자닌은 통상 담보가 부족한 M&A 거래나 자체적인 신용으로 전체 자금조달이 어려운 기업에서
경영권의 적절한 보호와 원활한 자금조달의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할 때 사용.
메자닌 방식은 주식을 통한 자금조달이나 대출이 어려울 때 배당우선주,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등
주식 관련 권리를 받는 대신 무담보로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기법으로 이랜드는 후순위채와 배당우선주를 동원).
- 참고 : 이르면 올해 안에 국내에도 메자닌 전문 펀드가 선보일 것으로 예상됨.
메자닌 펀드는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 발행하는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에 투자하는 펀드.
현행법에서는 PEF가 바이아웃펀드(기업인수펀드)로만 제한돼 있고 메자닌펀드로 활동하는 것은 금지돼 있음.
메자닌 펀드가 허용되면 펀드가 투자한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될 경우 이익을 공유할 수 있고
투자받은 기업은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윈윈할 수 있음.
최소 부담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레버리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음.
다만 돈을 빌리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비교적 높은 금리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최근 치솟는 금리가
걸림돌이 될 수 있음.
결론적으로 메자닌펀드가 도입되면 중소기업들 입장에서는 부족한 투자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금융산업 전반으로 보면 선진투자기법의 도입으로 투자은행의 경쟁력을 키우는 효과가 있음.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브마크와 드림소사이어티 (0) | 2008.03.02 |
---|---|
FMEA(고장유형 및 그 영향 해석) (0) | 2008.03.02 |
이름효과 (Name-Lettet Effect) (0) | 2008.01.15 |
Green Economy (0) | 2008.01.15 |
골디락스 [goldilocks] 란? (0) | 200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