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FMEA(고장유형 및 그 영향 해석)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의 약자입니다.

그 정의는 '제품설계 / 공정설계자들이 제품 및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모드와 그 영향을 도표와목록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개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개발단계의 품질/신뢰성 관리 도구'입니다

 

▶ 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설계 / 공정 상의 결함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모드의 확인

▶ 문제점 발생을 방지하고 품질개선의 필수적 도구

▶ 설계의 문제점 공정의 문제점을 정량화 하여 개선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는 특징이 있습니다.

 

FMEA를 수행하면 기대되는 이익

  ① 제품의 품질, 신뢰성, 안전성 개선

  ② 회사의 이미지 재고 및 경쟁력 확보

  ③ 캠패인 / 리콜의 최소화

  ④ 제품개발기간 및 비용의 절감

  ⑤ 불만 대책 및 / 이력 제공

 

FMEA의 분류 :

 

(1) 시스템 FMEA

    - 초기개발 concept / 설계단계에서 제품의 시스템 / 서브시스템 분석에 사용

    - 시스템의 기능에 관한 잠재적 고장모드에 중점을 둔다.

    - 시스템간의 상호작용과 시스템 내 서브시스템간의 상호작용에 중점

 

(2) 설계 FMEA

    - 설계시작 단계에서 시작하여 양산도면 출도 이전에 1차로 완성해야 한다.

    - 제품의 구성요소인 부품, 어셈블리, 유닛, 시스템의 단계별 분석에 사용

    - 설계결함에 기인한 부품 또는 Hardware의 잠재적 고장모드에 중점을 둔다.

    - 설계출력 이전의 설계결함의 예방활동이다.

    - 향후 설계출도에 필요한 제반활동에 중점(향후 FMEA시 정보로 활용)

 

(3) 공정 FMEA

    - 공정설계 및 개발단계 초기에 시작하여 Line편성 및 구성 이전 단계에

      1차로 완성하여야 함

    - 제조 / 조립공정의 분석에 사용

    - 제조 / 조립공정의 결함에 기인한 제품의 잠재적 고장모드에 중점을 둔다.

    - 제품이 고객인도 이전에 고장 및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활동을 확인한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디즘(Fordism)  (0) 2008.03.10
러브마크와 드림소사이어티  (0) 2008.03.02
메자닌 파이낸싱(Mezzanine financing)  (0) 2008.01.30
이름효과 (Name-Lettet Effect)  (0) 2008.01.15
Green Economy  (0) 2008.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