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윈도우 효과란?

 

하나의 문화상품이 문화산업의 일개 영역에서 창조된 후 부분적인 기술적 별화를 거쳐 문화산업 영역내부,

혹은 다른 산업의 상품으로 활용이 지속되면서 가치가 증대되는 효과

 

문화산업 분야에는 ‘윈도 효과’라는 게 있다.

하나의 상품은 그 영역에서만 수명을 다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문화의 다른 영역에서 되살아나 가치를 창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잘만든 영화 한 편으로 4만5000여 중소기업을 먹여 살릴 수도 있는 것이다.

꿈을 이루는 데는 기술도 필요하지만 시간도 필요하다.

영구아트센터의 창고에는 미니어처로 제작된 노틀담 사원 등 유럽의 오랜 성과 저택, 사원들이 포장도 없이 보관되어 있다.

먼지가 쌓이는 것을 개의치 않는다고도 했다. 아니 오히려 오래된 건물은 먼지가 쌓여 있으니 사실감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오는 2005년에 제작될 애니메이션 ‘황금성’을 위해 2년 전에 만들어 놓은 것들이다.

‘디워’에 나오는 승주의 낙안읍성도 이미 노천에서 먼지와 풍화작용을 받고 있다.

동서양에서 바라보는 용의 개념은 상이하다. 그러나 용처럼 매력있는 캐릭터도 드물다.

심형래 대표는 ‘디워’의 성공으로 한국이 ‘용’이라는 세계적 콘텐츠의 주인이 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스필버그가 아무도 본 적이 없는 공룡을 쥬라기공원을 통해 자기 것으로 만들었듯

용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우리에게 반도체, 조선에 버금가는 산업을 형성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사례) 해리포터, 디워, 스타워즈, 트랜스포머, 신세기 에반겔리온

        한국사례 : 난타, 아기공룡 둘리, 디워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적 동기부여 이론  (0) 2008.04.20
멜라비안법칙  (0) 2008.04.20
마케팅 믹스 7P  (0) 2008.04.07
러브마크  (0) 2008.03.29
윈도우드레싱(Window Dressing)  (0) 200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