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구분을 분명히 할 것이 물가상승률을 낮게 만든다는 것이 물가를 떨어지게 만든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전자는 물가가 상승은 되지만 그 상승속도가 둔화 된다는 것이고, 후자는 물가라는 절대적인 숫자가 작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기저효과(Base Effect)란 전년도 혹은 전기의 어떤 것이 너무나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미래의 어느시점 또는
현재의 그 어떤것이 비교적 좋아보이는 효과를 말한다.
그동안 우리는 고물가 뿐만이 아닌 빠른 물가상승률로 많은 고생을 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앞으로 물가가 올라도 과거처럼
그렇게 심하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입니다. 즉, '이번의 기저효과에서 우리가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은 유동성이 높아지기는
하되 높아진 유동성만큼 물가가 치솟지는 않을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그러면 물가상승의 악효과가 상쇄될 것이다.' 라는 말이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S (0) | 2008.05.04 |
---|---|
상품 가격 책정 요소 (0) | 2008.04.20 |
기업 통화 (0) | 2008.04.20 |
통합적 동기부여 이론 (0) | 2008.04.20 |
멜라비안법칙 (0) | 2008.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