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편향성이 문제" vs "시대착오적 이분법"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이념에 과잉경도…. 기억 해야 할 것을 망각하게 만들었다."(박효종 교수)
"진보세력을 친북좌파로 매도하는데 이용하려 하고있다."(주진오 교수)
최근 세간에서 뜨거운 논쟁이 된 `역사교과서' 문제를 둘러싸고 보수와 진보진영의 대표학자들이 모여 뜨거운 설전을 주고받았다.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조작사건의 피해자들을 기리고자 설립된 4·9통일평화재단은 27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교과서 역사서술: 쟁점과 과제' 등을 주제로 창립기념 세미나를 열었다.
토론회에서 보수진영은 대한민국건국과 북한사회에 대한 현행 역사교과서의 편향성을 지적한 반면 진보진영은 보수세력이 일제강점기를 `일본 시각'으로 해석하려 한다며 반박했다.
먼저 박효종 서울대 국민윤리교육과 교수는 발제문에서 "원래 이 문제는 노무현 정권 때부터 줄기차게 지적돼온 문제지만 노정권이 책임있는 자세로 해법을 강구하기를 거부했다"며 `정파성에 의한 문제제기'라는 일각의 시각을 일축했다.
박 교수는 그러면서 "현행 교과서들의 문제는 `반외세 민족주의'에 기초한 역사적 편향성"이라며 "특히 대한민국건국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등 정통성을 부정하는 `사관(史觀)'이야말로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인 `편향사관'으로 ▲대한민국을 친미·친일의 반민족국가로 서술한 점 ▲북한을 정상적 사회주의국가처럼 묘사한 점 ▲6·25전쟁에 대한 원인과 책임에 대한 편향성 등을 거론했다.
이에 대해 주진오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 교수는 교과서 문제를 주도적으로 제기해온 `교과서포럼'을 일본 극우단체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에 빗대며 공동대표인 박 교수를 직접 겨냥했다.
주 교수는 "교과서포럼은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포스트식민주의 논리를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 의도하고 있는 것은 민족주의를 해체하자는 것"이라며 "실용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냉전시대의 이분법을 강조하고 있다"고 반론을 폈다.
그는 특히 교과서포럼이 지은 `대안교과서'가 ▲중화제국론에 대한 강조 ▲청일전쟁·명성황후 시해사건 등 일제강점기 사건들에 대해 `일본적 관점'이 농후하다고 주장하며 "어느 나라 교과서인지 모르겠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밖에도 교과서포럼의 또 다른 공동대표인 이영훈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한홍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가 각각 보수,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토론자로 참석해 앞서 전개됐던 두 발제자의 설전에 못지 않은 뜨거운 공방전을 벌였다.
jslee@yna.co.kr
서울시내 중고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의 60% 정도는 정부 부처 및 각 단체의 `좌편향 역사교과서' 문제 제기를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최재성(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9월29일~10월3일 서울지역 중등 역사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좌편향 역사교과서' 수정 요구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63.3%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23.4%였고 `보통이다'는 응답은 13.3%였다.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그 이유로 `교과서는 정부 철학과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유지돼야 하기 때문'(33%)이거나 `역사교육과 교과내용에 관한 논의는 역사학계에서 이뤄져야 할 사항'(23%)이라는 점을 꼽았다.
적절하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그 이유로 `문제가 된 교과서들의 검정이 철저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39%), `정부철학의 변화에 따라 교과서의 수정도 불가피하기 때문'(29%) 등을 들었다.
국방부의 `4ㆍ3 사건' 관련 수정 건의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63.3%는 `현행 유지'를, 21.7%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승만 정권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유지' 63.3%, `개선' 21.7%였고 박정희 정권 관련해서는 `유지' 73.3%, `개선' 24.2%, 전두환 정권 관련해서는 `유지' 78.4%, `개선' 14.2%의 의견을 보였다.
김대중 정권 당시의 `햇볕정책'을 `화해협력정책'으로 수정하자는 통일부의 요구에 대해서는 50.0%가 `유지', 39.2%가 `개선'을 택했다.
중.고교생 60% "역사교과서 문제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한국 중ㆍ고등학생 중 60%가 현행 역사교과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수일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운영위원은 16일 성균관대에서 열리는 '제6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평화 포럼 서울대회'에서 서울과 농촌지역 중ㆍ고등학생 321명의 역사인식을 조사한 '한중일 청소년의 역사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미리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의 60%가 역사교과서 속 일본에 대한 기술에 부정적(치우침 30%, 매우 치우침 30%)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국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도 51%가 부정적(치우침 32%, 매우 치우침 19%)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위원은 "부정적 판단 속에는 일본이나 중국을 미화했다는 의견과 비하했다는 의견이 섞여 있을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이 높게 나타난 원인을 분석했다.
이 위원은 그러나 "현행 역사교과서에 대해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부정적이라는 것은 교과서 내용을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위원은 이어 "역사의 진실을 다룬 언론보도를 접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역사논쟁에 직접 뛰어드는 등 요즘 학생들은 교과서만을 맹신하지 않는다"며 "학생들의 역사지식과 역사관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편 야스쿠니 신사에 대해서는 75%의 학생이 신사참배 문제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스쿠니 신사에 제2차세계대전 전범의 위폐가 봉안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학생은 58%로 조사됐다.
위안부 문제의 경우 96%가 알고 있었으며 일본정부가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사실을 부인하는 것에 대해서는 95%가 부당하다고 답했다.
또 일본의 식민지배와 제2차 세계대전에 관련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지도는 3.1운동(93%)-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86%)-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79%)-중국의 5.4운동(52%)-남경대학살(28%)-전후 일본의 평화헌법(1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가 8월 중순 제주도에서 진행한 제5회 한중일 청소년역사캠프에 참여한 중국과 일본 청소년 각 28명과 20명을 대상으로 같은 설문조사를 한 결과와 비교할 때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중국 청소년의 인지도는 남경대학살(100%)-중국 5.4운동(96%)-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96%)-전후 일본의 평화헌법(75%)-한국의 3.1운동(39%)-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25%)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 청소년의 경우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100%)-전후 일본의 평화헌법(95%)-남경대학살(80%)-이토 히로부미 저격(55%)-3.1운동(50%)-5.4운동(45%) 순이었다.
또 '한중일 3국이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은 역사갈등 바로잡기(83%)-정부차원의 협력(47%)-역사교육과 청소년 교류(46%)-민간단체의 활동(6%) 순으로 답해 역사갈등 해결을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했다.
그러나 중국 학생들은 청소년 교류(75%)-역사갈등 바로잡기(68%)-정부 협력(46%)-민간단체 활동(11%) 등의 순으로 답했으며, 일본 학생들은 청소년 교류(85%)-정부 차원 협력(45%)-역사갈등 바로잡기(45%)-민간단체 활동(10%) 등으로 답해 양국 모두 역사갈등 해결보다 청소년 교류를 더 중요한 항목으로 평가했다.
이 위원은 "중국과 일본에 비해 한국 학생들이 역사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한국이 역사문제의 피해자인 이유가 큰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국 학생들이 민족주의적 경향이 강한 것은 아닌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kind3@yna.co.kr
(끝)
'시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에 대한 기대 (0) | 2008.11.07 |
---|---|
교육부의 교과서 수정 권고안 발표 (0) | 2008.10.30 |
침뜸 논란,집단 이기주의와 선한 의도의 싸움 (0) | 2008.10.27 |
처용문화제를 둘러싼 종교 논란 (0) | 2008.10.27 |
2008 금융위기의 증상들 (0) | 2008.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