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야기(CEO연구)

[CEO 사례 연구] 석위수 볼보그룹코리아 사장

 

석위수 볼보그룹코리아 사장은 어릴 때부터 기계밥을 먹어 왼손 손톱이 다 깨지고 닳아 없어졌다고 했다.

 "막일로 손톱도 없어진 농업고등학교 출신이 외국계 기업 CEO(최고경영자)를 맡은 게 이상합니까. "

석위수 볼보그룹코리아 사장(61)의 왼손엔 손톱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하도 망치질을 하고 기계를 만져 손톱이 깨지고 닳아 없어졌다.

농사일이나 철공소 작업으로 생긴 훈장이다. 농고를 졸업한 후엔 도망치듯 집을 나왔다.

독학을 해 고려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대한석유공사와 현대양행 등을 거쳐 1976년 삼성중공업에 입사했다.

삼성중공업 건설기계부문이 1998년 볼보 측에 넘어간 뒤에도 줄곧 같은 직장에서 기계밥을 먹었다.

영어는 50줄에 들어서야 학원을 다니면서 혼자 깨우쳤다.

16일 서울 한남동 볼보그룹코리아 본사에서 석 사장을 만났다.

국내에서 가장 한국적인 외국계 기업 CEO로 꼽히는 그가 인터뷰 내내 강조한 점은 바로 한국식 생산 시스템의 경쟁력이다.

볼보그룹코리아의 창원식 생산시스템은 굴삭기 10대가 팔리면 10대를 만든다는 개념의 생산방식이다.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수십 가지 모델을 동시에 생산하면서 조업시간을 단축하고 팔리는 만큼만 생산해

공장 내에 재고가 쌓이지 않게 유지했다. 창원식 생산시스템은 이제 스웨덴에 있는 볼보그룹 본사로 전파되고 있다.

석 사장은 "커뮤니케이션 문제로 처음엔 창원공장 생산시스템이 저평가돼온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몇년 전부터 그룹에서 창원공장을 모범공장으로 선정,견학을 올 정도"라고 소개했다.

과거엔 우리가 무조건 해외 기업을 따라가는 입장이었다면 이제는 오히려 해외에서 한국식 생산 시스템을

배우러 오는 상황이 됐다는 얘기다.

창원공장의 또 다른 힘으로 R&D(연구 · 개발) 능력을 꼽았다.

그는 "전 세계에 흩어진 볼보 건설기계 생산기지 중 중국공장 등 대부분이 굴삭기 제조 기술만 갖고 있다"며

"창원공장은 자체적인 설계 기술과 R&D 능력을 갖고 있어 시장 대응 능력이 뛰어난 편"이라고 말했다.

석 사장은 창원식 생산시스템을 정착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말 볼보그룹코리아 사상 처음으로 한국인 CEO에 올랐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