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통 단어장 (58)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리말 도로찾기 우리말 도로찾기 심 경 호(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1. 1948년에 대한민국 문교부는 『우리말 도로찾기』(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단기4981년=서기 1948년 6월 2일 발행)라는 본문 36쪽의 소책자를 발행했다. 머리말 5쪽, 방침 1쪽, 일러두기 1쪽이 있고, 한 면을 비워두고 본문이 시작된다. 가로 12.7센티, 세로 18.. 계제 階梯 사닥다리라는 뜻으로,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계제를 밟다 - 깊이 알려고 할수록 공부에는 밟아야 되는 계제가 있음도 짐작이 되었다. ≪박종홍, 새날의 지성≫ - 불차탁용이란 계제를 가리지 않고 자리를 뛰어서 인물 본위로 벼슬자리를 준다는 가장 영광스러운 승진.. 쇄소응대 灑掃應對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상산학파 象山學派 중국 송나라의 철학자인 상산(象山) 육구연의 학설을 따르는 학파. 독서와 궁리(窮理)를 중요시한 주자학에 대립하여 실천과 궁행(躬行)을 중요시하였으며, 인성 일원설(人性一元說)을 주장하였다. 敎學相長 교학상장 가르침과 배움이 서로 진보시켜 준다는 뜻으로, ①사람에게 가르쳐 주거나 스승에게 배우거나 모두 자신의 학업(學業)을 증진(增進)시킴 ②가르치는 일과 배우는 일이 서로 자신의 공부(工夫)를 진보(進步)시킴을 말한다. 완물상지 [玩物喪志] 완물상지 [玩物喪志] :하찮은 물건에 대한 집착으로 큰 뜻을 잃음. 《서경(書經)》의 여오(旅獒)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은(殷)나라의 마지막 군주인 주(紂)는 성격이 포악하고 백성들에게 재화와 보물들을 거두어들여 호화로운 궁전을 세우고 유흥에 빠져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다. 주(周)나라의 서.. 戒愼恐懼 계신공구 戒愼恐懼 :계신공구 훈음 :戒 경계할 계 ,愼 삼갈 신, 恐 ⓐ두려울 공 ⓑ아마 공, 懼 두려워할 구 경계하고 삼가하며 두려워하다.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한다. 영남학파와 호남학파의 싸움으로 해석되기도 했지만 그것은 후대에 만든 입장이리라. 사단(四端)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지단(義之端),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지단(禮之端), 시비..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