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통 단어장

(58)
이기론(理氣論) 이기론(理氣論)은 조선시대 성리학에 있어서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우주론(宇宙論)의 하나이다. '이(理)'·'기(氣)'는 본래 유교의 경전에 단편적으로 보이지만 중국의 송대(宋代)에 이르러 유교는 불교·도교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으로 이기론을 더욱 심화하였다. 주희(1130~1200)에 의하여 집대성..
格物致知 격물치지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를 구명하여 자기(自己)의 지식(知識)을 확고(確固)하게 함 .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자기의 지식을 다듬어 간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이에 두 가지의 설이 있다. 송나라 주자의 설과 명나라의 왕양명의 설이 있다. 주자의 설은 만물은 한그루의 나무와 풀 한포기에 이르기까지 ..
침묵(沈默) 침묵(沈默) 할 말을 위해 말을 안하는 상태. 때론 침묵 그 자체가 말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침묵은 말을 했을 경우에 예상되는 여러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에 기인하지만, 때론 정신을 각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개인의 침묵은 미덕일 수 있지만, 복수의 개인에게 있어서는 서먹함..
초식남(草食男) 초식남(草食男)은 기존의 '남성다움'(육식적)을 강하게 어필하지 않으면서 주로 자신의 취미활동에 적극적이나 이성과의 연애에는 소극적인 차별된 남성을 일컫는 말. 올해 일본에서 '자신을 초식남이라 보는가'라는 설문조사에서 남성의 과반수 이상(54%)이 자신을 초식남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조..
소통(疏通) 소통이란 상대방과의 이해와 교감을 의미한다. 간혹 소통의 문제를 홍보의 문제로 오인하는 사람도 있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일방적으로 주입하거나 강요하는 것이 소통일 수 없다. 소통은 서로 마음을 나누는 쌍방향의 것이다. 메시지 자체가 이미 공감을 이룰 만하다면, 소통의 기술이나 요령..
만시지탄 [晩時之歎] 만시지탄 [晩時之歎] 때늦은 시기를 원통해하며 한탄한다는 뜻으로, 후시지탄(後時之歎)이라고도 한다. 시기가 지나 기회를 잃고 탄식(歎息)하는 것을 말한다. 정해진 시간이나 시기가 너무 늦어서 다시 돌이킬 수 없어, 기회를 놓치고 일이 지나간 뒤에 때늦은 탄식을 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초식동물 풀을 먹고 사는 동물. 먹이 사슬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포식자의 식사로 성장하는 동물. 금연 시대의 애연가 집단. 웰빙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의지박약자. 의지에 독기가 없으면 성공하지 못하는 시대에 성공의 밀림에서 포식자의 먹이가되거나 이용당하는 슬픈 동물. 배가 고파도 고기를 먹지 못하..
전문가 " 일반인 보다 더 모르는 것이많고 궁금증이 많은 사람들이다." " 전문가에게는 반쯤 아는 것은 모르는 것이지만 일반인에게는 반쯤 아는 것이 충분히 아는 것이다." " 전문가는 자기가 모르는 것은 인정할 줄 알고 다른 사람이 더 잘안다는 사실도 인정할 줄 안다 " " 나의 전문 문야가 아니라서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