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저장소

모럴헤저드(moral hazard)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는 경영학적 입장에서는 정보비대칭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상대에게 위험이나 손해를 끼치더라도 자신의 이익만을

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모럴 해저드의 예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보험업이나

금융업계의 예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는 원래 보험과 관련해서 주로 사용되던 용어입니다.  

가령, 화재보험에 가입한 사람을 생각해 봅시다.  

보험회사 입장에서 보면 보험에 드는 사람마다 화재의 예방을 위해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리라

기대하겠지만 보험가입자의 입장에서는  일단 가입하고 나서부터는 화재예방에 드는 노력과

비용을 게을리 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화재가 나도 보상을 해 주기 때문에 화재 예방 노력을

열심히 하는데 따른 이득이 없어진 셈이기 때문이죠.  보험회사와 보험가입자 사이에 이러한

상황이 존재할 때 우리는 보험가입자측에 도덕적 해이 문제가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만일 보험회사가 보험가입자의 화재예방노력을 하나 하나 모두 파악할 수 있다면 화재예방

노력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적용하거나 보험가입 자체를 거부할 수 있을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죠.  보험회사가 보험가입자를 개별적으로 다 파악할 수 없는 이러한 상황

을 정보의 비대칭이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이 어느 한 쪽이 상대방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정보의 비대칭 상황하에서는 항상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소지가 있습니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크릿뱅킹  (0) 2008.07.20
마이크로 파이낸스란?  (0) 2008.07.20
마케팅 묘피아(marketing myopia)란?  (0) 2008.07.20
피크 오일 (Peak oil)  (0) 2008.07.20
인포머셜이란?  (0) 200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