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민주화와 장로제도에
대한 단상]
교회 민주화는
언제부터 시작했을까? 하는 생각을 우연히 하게되었습니다.
교회가 과연 민주적 운영이 가능한
것인가?
일단 주종의
관계와 자녀로서의 관계를 원리로 하는 기본적인 神觀이
민주라는 말과 어울릴까?
오히려 민주란 것은 사단의 반역의 원리가 아닐까? 등등....
'우리끼리 더이상 흩어지지 말자'며 지은
바벨탑은 각 종족의 언어를 달리하는
엄청난 벌로 돌아왔고 , 말씀의 종교 답게 방언이라는 잘알아 듣지 못하는
언어가
믿음이 깊은
사람(?? 뭐 반드시 그런 것이 아니지만...)에게는
만국의 방언에
통역의
은사로 주어지게 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했던 것,
그리고 여호와 외에 다른 신이 없다는 것을 모르는 무지 몽매한
인간이
예물로 올리는
기름이 좀 잘못되었다고 죽음의 벌을 하사하시는 하나님,
그리고 살아 계시는 하나님께서 모세 오경을 통해 그토록 자세히
제사를
드리는 방법을
알려주시는 모순들....
하나님 독재의 종교입니다.
이런 것 속에서 나는 성경에 사람이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하나님께서 예수를 통해 증거하신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때문에
나는 민주라는 말이 교회와 어울린다는 생각을
합니다.
민주주의가
네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이는 불가능하듯 , 우리가 가르침을
받는
사랑은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사랑을 독차지하지 않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의무를 지는, 정말
민주적인 의무를 지는
종교이기 때문입니다.
근세의 교회의 민주화는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칼빈의
청교도 사상은 우리 교회사에 정말 큰 획을 그은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기존의 주교 중심의 교회 제도에서 가장 화려하고 가장 권위적이며 완권을
옹호하는
수단으로
전락된 당시의 교회에 스스로 청렴한 생활을 통해 실천하며 성경을 읽는
방법을 바꿔버린 대 사건이지요.
청교도적인 삶은 인간적인 삶의 쾌락을
허락하는데는 인색한 편입니다.
그 역사적인 근거로는 초기 청교도인들이 주교 중심이 아닌 장로 중심의
교회 편제를 허락할 것을 요구했으나 영국 여왕이
거부하자 네덜란드로 건너갑니다.
(장로 중심의 편제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교회 민주화의 제도적 개혁운동이었지요)
네덜란드에서 그들의 낙천적인 삶이 청교도적이지
않다고 생각햇기 때문에
그들은 영국으로 돌아가 사람을 다시 모은 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신대륙 아메리카로
건너가게됩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인간의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즐거움도 하나님이 주신
축복이고. 이것을 누리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생기게
되었지요.
장로제도 자체가 교회의 민주화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백양로 교회에 새로운 장로님을 뽑는다고
합니다.
저는 그
과정이 과연 민주적인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람에 의한 편가르기는 없는지.....
정말 기도로 응답 받고 하는 일인지
말입니다.
그리고
장로가 교회 내에서의 또 다른 계급화되는 것은 아닌지....
섣부른 신자의 섣부른 생각이었습니다.
(2003-11-8)
'초신자의 도마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우리의 삶의 주인인가? (0) | 2006.05.11 |
---|---|
내 믿음의 시작에 대한 기억 (0) | 2006.05.11 |
겨자씨 만한 믿음 (0) | 2006.05.11 |
가난한 기독교인 (0) | 2006.05.11 |
수동태 신앙 (0) | 2006.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