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포디즘 (Post Fordism) 이란?
포스트 포디즘의 여러 이론은 대체로 미숙련 노동자를 투입하여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했던 예전의 경직된 대량 생산 라인에서 벗어나,
시장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범용 기계와 숙련 노동자들로 구성되는 혁신적인 생산 체제를 강조한다.
또한 분업을 최소화시켜 직무를 수평적·수직적으로 통합하고, 권위주의적인 수직적 의사 결정 구조를 수평적으로 전환하며,
노동자들에게는 직무에 대한 폭넓은 자율권을 보장하는 등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보다 인간적인 작업 환경을 마련하는 데 고심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는 것이 볼보 자동차의 우데발라 공장이다.
우데발라 공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컨베이어 벨트가 사라졌고, 컴퓨터 기술에 의한 조립과 분류 작업과 함께
최종 조립은 수공업적으로 숙련된 작업팀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직무의 수평적·수직적 확대를 통해 구상과 실행의 통합도가 높다.
뿐만 아니라 각 작업팀은 생산과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자율권을 누리고 있다.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입 장벽 (0) | 2008.03.10 |
---|---|
마태효과(Matthew effect) (0) | 2008.03.10 |
포디즘(Fordism) (0) | 2008.03.10 |
러브마크와 드림소사이어티 (0) | 2008.03.02 |
FMEA(고장유형 및 그 영향 해석) (0) | 200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