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평·독후감

[보고서] 재도래하는 원화 강세와 한국 경제

 

 

 

 

 최근(2009년) 원화 환율이 크게 하락(원화강세)

 

1.원인은 
1) 달러 신인도 하락(미국 재정수지 적자 )
2) 달러캐리트레이드 출현(미국의 금리가 일봉의 금리 보다 낮아짐)
3) 달러화 유입 지속( 무역수지및 경상수지 흘자 지속)
4) 한국의 신인도 제고(경기 회복 기대감/한반도 리스크 완화)
5) 안전 자산 선호도 약화( 세계경제 회복 기대감/ 국제 금융시장 안정)

 

2.과거와는 다른 측면은
1)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
2) 국내 추가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 수단 제한
3) 한국 경제의 대외 의존도 심화
4) 고유가
등의 불리한 여건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3.최근의 원화 강세의 파급효과는
1) 거시 경제 측면에서 경제 성장률 하락
2) 국내 산업 측면에서 수출 감소(수출 상위 품목 집중도 심화로 가속성 요인 있음)
3) 기업 채산성 악화(환리스크 요인/를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

 

4.대안으로는
최근 외환 시장을 교란시키는 단기외채의 총량규제와 외환 건정성 규제를 국내은행뿐아니라 외국은행의 국내 지점에도 적용하여야한다.

 

궁극적으로는 시장 인프라가 개선되어야함.
1)외환거래 저변확대
2) 시장 조정자 육성
3) 이종 통화간 직거래 시장 추가 개설
을 통해 반복되는 원화 환율 쏠림 현상을 방지해야함.


원화강세를 해외기술및 자원 확보를 위한 기회로 활용할 필요도 있음.  

'서평·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중 일기   (0) 2009.12.07
[보고서]2010년 한국 기업 5대 불안 요인과 대응방안  (0) 2009.11.29
[보고서]고참의 재발견  (0) 2009.11.29
키케로의 의무론에 대한 Self Q&A  (0) 2009.10.25
오래된 미래  (0) 200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