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신자의 도마일기

묶은 책과 새 책

변영인 교수의 강연이 후에 쓴 글로 보이는데 그 때 느낀 바가 많았나 봅니다.

책에 대한 욕심이 많은 터라 묶은 책을 보면서 묶은 제 신앙을 기대했었나보구뇨. ㅎㅎㅎ

 

< 묶은 책과 새 책>

 

제 집에는 제법 그럴 듯하게 제 개인 서재가 꾸며져 있습니다.

제법 많은 책이 꽂혀있고 또 해묵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단지 제가 책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것이 기분이 좋아서 꾸민 것인지, 아니면 정말 책 읽을 공간이 필요해서 꾸민 것인지 솔직히 어느 것이다 꼬집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분히 아는체하기를 좋아하는 성미라 아마도 저의 현학을 백업해줄 무언가가 필요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쪽이 더 유력하지도 모르지요.

 

책에 대한 저의 편력은 대학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학교 앞에는 시중가격의 30% 정도

에 책을 구할 수 있는 헌책방이 하나 있었습니다. 대학생으로서의 공부가 단지 학교의 성적

에 연연해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했었던 나는 비교적 다양한 책들을 사 모으기 시작했었지요.

사실 시초가 된 것은 오래된 시집을 사는 것에서부터였습니다. 오래된 시집에서는 당시만해

도 꽤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던 편지 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편지의 대상은 여학생들이었고, 그들로부터 인정 받기 위해 예쁜 말을 고르는 연습

을 시집에서 시작했었지요. 처음에는 시집 몇 권에서 나중에는 詩作에 관한 책으로 옮겨가

고 제 글을 쓰고 싶은 욕심에서 철학 관련 서적이나 여러 사회 과학 서적을 사기 시작했습

니다. 그리고 대학 2학년쯤 부터는 전공에 관련된 책이라면 가리지 않고 사 모으기 시작했

지요. 지리학자가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실천에 옮긴 저의최초의 행동이 책사기였습니다.

 

제 대학 시절 전공인 지리학이란 학문은  인간과 공간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때문에 지리학의 세부적인 분류를 따지자면 크게는 인문지리 자연지리로 나누고 다시 경제

지리, 도시지리, 문화지리, 역사지리, 산업지리, 관광지리, 정치지리, 사회지리, 지형학, 기후

, 생물지리, 의료지리 등등 시중의 모든 학문의 구분뒤에 지리자만 붙이면 하나의 분과가

되는 학문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수집해야 할 책들이 거의 모든 책이 되고 말았지요. 처음에

는 책을 몇 권 사 모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한 700권쯤 넘어가다 보니 나중에

는 대학 졸업 전에 천 권의 책을 사 모아야겠다고 본말이 전도되고 말더군요.  대학을 졸업

해서도 책을 사 모으는 것은 여전했습니다. 월평균 4권정도 그러니까 일주일에 한 권 정도

의 책을 샀습니다.

다 읽었다고는 말하지 못하겠습니다. 목차만 보고 만 책, 언제 읽으리라 계획만 해놓고 책

꽂이에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책이 많습니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는 주로 성공학과 관련한

책이나 경영, 리더십, 마케팅에 관련된 책 그리고 대인 심리와 관련한 책들이 많았습니다.

 

최근 믿음 생활을 시작하면서 산 책이 약 40여권쯤 되는군요. 성경 66권을 포함하면 100

이 넘지요? ㅎㅎㅎ

 

여하튼 그 책들이 지금 제 방을 채우고 있습니다. 그 책들을 물끄러미 보면서 오늘은 그 책들과 함께한 시간이 눈에 띰니다. 벌써 제 손에 온지 20년이 훌쩍 지나버린 책과  지난 주에 산책에 이르기 까지.

 

그런데 참 묘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 그 오랜 책 앞에는 15년 전 제가 회사 생활을 막 시작하면서 찍었던 제법 날씬한 사진이 걸려 있고 , 지난 주에 산 책 위에는 지난 날 골프 대회에 참가해서 찍은 사진이 올려져 있습니다. 물론 현재의 모습으로요.

제 몸은 더욱 튼실(?)해진 것은 사실인데 과연 그 오랜 책들과 함께한 제 지식은 제게 지혜의 한 부분으로 또는 제 영혼의 한 조각으로 자리잡고 있는지 자문해 봅니다.

 

오늘 변영인 교수의 강연을 들으면서 체험한 신앙과 체험하지 않은 신앙의 차이를 생각해보

았습니다. 그녀의 강의는 간증이었지요. 흔히 여러 사람 앞에서 강의를 할 때 재미있게 또

그 시간 만큼은 의미있게 강의를 할 수는 사람은 많지만 오늘처럼 사람을 울리는 강연은 그

체험이 내재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이지요. 묶은 신앙이었습니다.

저는 저들 묶은 책과 함께 제 삶에 묻어 있는 그 어떤 것으로든 채색된 체험들이 왜 지금

현재에 제 스스로에게도 호소할 수 있는 힘이 없는지 지난 시간들이 현재 내게 가식으로 밖

에 자리 잡고 있지는 않는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얼마전  전도 아닌 전도를 하면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나는 내 삶이 가장 힘들기 시작할 때 그 문제의 원인이 나의 교만과 욕심에 있음을 알고

성경을 믿기 시작했고 교회를 다니기 시작했다네. 자네 역시 지금 문제가 있거든 종교를 고

민해보게나. 지금 자네에게 남아 있는 시간이 정말 빛나는 삶이 되기 위해 삶을 다시 한 번

더 고민하고 싶다면 가까운 교회에 가서 기도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한 번 살펴보게나. 그들

은 최소한 자신의 삶을 위해 진정으로 기도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란 걸 한 번 알아보

게나. 그들에게 삶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허락된 것이며, 그 주인이 자기가 아니

라 자신을 창조한 분의 것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어. 남아 있는 시간의 가치를 위해 지금

이 바로 자신의 삶을 재조명해야 할 때라고 생각해

 

그리고 저는 집으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그 말은 제 스스로에게 다시 한 번 되뇌이고 있었

습니다.  그리고 이런 후회가 동반되었습니다 .오늘도 많은 시간을 그냥 죽이고 말았군…”

 

저는 묶은 책들로 인해 빨리 읽게된 새 책들처럼 묶은 제 신앙을 바라 볼수 있기를 기도합니다.